목록DDoS (6)
위드파트너
불법 다운로드의 합법화 사업전환사례, 무료 패스워드관리자 lastpass, 네이버 웹문서 검색강화중, 디도스 방어 국가가 나선다, 이미지로 이미지를 검색, 구글의 상상력 불법 다운로드의 합법화 사업 2가지 jeremy68.tistory.com [원문보기] 합법 다운로드를 받는 공간은 불법 다운로드가 실행되고 있는 웹하드나 P2P사이트안에서 이다. 즉, 누군가 불법 다운로드를 받으려고 사이트에 접속한 뒤 추.격자 립버전을 눌렀다고 치자. 그런데 그 파일은 불법을 가장한 합법 파일이다. 즉, 2,000원 수준의 과금을 해야 DRM이 풀리고 파일을 볼 수 있다. 자기 PC에서만 볼 수있거나 또는 특정 기간 까지 보관이 가능하다. (물론 특성 웹하드에서는 프리미엄 다운로드 메뉴로 서비스되기도 한다) 아 이밈 닷..
먼저 디도스 공격의 개념과 왜 이 공격이 최근 이슈가되고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는지를 간단히 설명합니다. 아래 글은 제가 블로그에 올렸던 내용과 동일합니다.( http://withpartner.tistory.com/288 ) 디도스 공격에 대해서는 이미 언론에서 많이 알려졌으므로 더이상 언급할 필요는 없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그걸 왜 못막냐?"는 원초적인 질문을 하고 있는터라 이 자리를 빌어 디도스 공격이 진짜 무서운 이유를 간단히 적어본다. * 충격과 공포~ DDoS 공격이 무서운 이유 1. 현재 디도스 공격은 막을 수 있는 서비스가 아니다. - 쉽게 말해서 명절(설, 추석)때 서울 톨게이트를 생각해보면 될 듯 하다. 디도스 공격에도 여러가지 공격 유형이 있겠지만, 일단 물량공..
최근에 아이템 거래 사이트가 DDoS 공격으로 접속불능 상태에 빠지자 언론이 앞다투어 디도스에 대한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디도스 공격은 이미 성인사이트나 화상채팅사이트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했었으나 음지에 있는 사이트를 공격했다는 이유로 별로 주목받지 못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맛뵈기였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아이템베이, 아이템매니아와 같은 나름대로 대형사이트라고 할 수 있는 곳들이 디도스 공격이 맥없이 꺾여 넘어간다는 것을 확인한 이상 이제 타겟은 보다 광범위하고 돈이 될만한 곳들은 모두 표적이 될게 뻔하기 때문이다. 디도스 공격에 대해서는 이미 언론에서 많이 알려졌으므로 더이상 언급할 필요는 없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그걸 왜 못막냐?"는 원초적인 질문을 하고 있는터..
DDoS 트래픽 발생 악성코드 감염주의 □ 개 요 o 보안에 취약한 PC가 ‘Virut’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DDoS 공격을 유발할 수 있는 악성 프로그램(트로이잔)을 추가 다운로드할 수 있어, 감염 및 피해예방을 위한 주의가 요구됨 □ 주요 특징 o PC에 감염되어 있는 Virut를 이용하여 공격용 트로이잔을 추가 다운로드 o 트로이잔이 실행되면, %systemroot%\temp\VRT[랜덤숫자].tmp 폴더로 자기 자신을 복사 o 트로이잔은 특정사이트(www.e-gold.com)을 대상으로 TCP Flooding(80, 443 포트 이용)과 UDP Flooding(임의의 포트 사용) 공격 수행 □ 감염 증상 o 감염PC에서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다 생성되어 인터넷 접속 지연이 발생 o 감염PC에서..
DDoS 공격에 관해서는 이미 여러 경로를 통해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은 피합니다. (간단히 말해 정상적인 수준을 넘어서는 막대한 트래픽을 보내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 KIDC에서 이번에 DDoS 보안관제서비스를 한다고 하길래 한번 봤더니... http://www.kidc.net/service/addition/security.jsp?strtop=2&strsub=04&strorder=01#gosvc 오호라~ 뭔가 획기적인 장비를 도입한것인가 싶어 냉큼 클릭해 봤습니다. 디도스 관제서비스란? 어떻게 방어를 해줄 것인가? 그럼 가장 중요한 서비스 비용은? 뷁~!! 1G 공격 방어 비용 월 1200만원, 설치비 50만원. 도대체 무슨 심산으로 이런 서비스를 하는 것일까요... 요즘 디도스 공격 들어왔다하..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일시적인 대량접속으로 웹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 인터넷 사용자가 안전하게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량접속에 의한 웹서비스 장애 방지 가이드’를 발간하여 배포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활용 바랍니다. * 웹서비스 장애방지 가이드 다운받기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은 최근 Recursive 네임서버에 대한 DNS amplification 공격과 관련하여 네임서버 관리자가 안전하게 네임서버를 관리할 수 있도록 "Open DNS(BIND계열) 보안조치 가이드"를 공동으로 작성하여 배포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Open DNS(BIND계열) 보안조치 가이드 다운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