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금계산서 (4)
위드파트너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이 2010년부터 법인은 의무화되고, 개인사업자의 경우에는 의무화가 당장 시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자계산서 발행을 통해 세액공제도 검토중에 있다고하니 무조건 앞으로 대세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입니다.^^ 이미 저는 2년전부터 활용하고 있었는데요... 정말 편리합니다.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만 알면 계산서 발행이 가능하거든요. 비용도 무료!! 단, 전자계산서 발행을 위해서는 공인인증서(계산서발행 전용)를 반드시 발급 받아야 합니다. 전자계산서 발행 이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파란 프리택스는 월 50건 미만의 계산서 발행업체를 대상으로 무료로 서비스를 시행합니다. 저는 개인사업자로 보통 월평균 계산서 발행건수가 20건을 넘지 않아서... 저처럼 계산서 발행 건수가 많지 않은 자영업자들에게는 더..
제가 올초까지 샌드빌(sendbill.co.kr)을 통해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해왔는데요... 가비아빌(gabiabill.com)을 알고나서는 샌드빌은 더이상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저는 월 평균 세금계산서 발행건수가 10건 내외이기 때문에, 샌드빌 보다는 가비아빌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서비스 업체를 옮기게 되었습니다. 가비아빌은 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전용 공인인증서도 무료로 발급하기 때문에 정말 좋은것 같습니다. 그럼 간단하게 샌드빌과 가비아빌의 가격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샌드빌은 라이트,스탠다드,스페셜 요금제로 분류해서 월 3,300원부터 11,000원까지 요금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스페셜 요금제로 한다고 하더라도 월 50건까지 밖에는 발행할 수가 없지요. 가비아빌을 한번 볼까요? 1년동안 20..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업체에서 제공해주던 사설 공인인증서는 더이상 사용할 수 없다. 6월1일부터는 한국전자인증에서 발행하는 공인인증서를 설치해야만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저는 샌드빌에서 계산서 발행을 하고 있는데 첫 1년 인증서 비용은 무료로 지원해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발행 및 갱신비용은 부가세포함 27500원) 한국전자인증에서 공인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아래 4가지 서류를 준비해서, 등기로 보내주면 됩니다.(등기 확인후 인증키를 메일로 발송해줍니다) 1.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2. 신분증 앞,뒤 복사 3. 최근 3개월 이내에 발급한 인감증명서 1부. 4. 공인인증서비스 신청서 1부 (사이트에서 신청서 입력후 출력) 우편으로 발행하는 세금계산서는 너무 불편해서..

아직 종이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특히 웹 업종에 종사하시는 사업자 분들은 이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세요. 인터넷 이메일과 스캔등... 상당히 보편화되어 있는 편리한 툴인데 여전히 우편을 고집하고 팩스를 고집하시는 분들이 아직 많이 계신거 같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는 발행하기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비용 면에서도 훨씬 저렴합니다. 신속.정확히 배달되고, 즉시 확인하여 승인할 수 있고 출력해서 사용 가능하니 얼마나 좋습니까. 전자서명인증 처리를 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법적으로도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참조 : http://sendbill.co.kr/jsp/netmania/sendbill/menu/TOPM/TOPM1000/TOPM1000_popup.jsp 저는 사업자등록증을 스캔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