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케팅이야기/웹서비스고찰 (33)
위드파트너

판도라TV... 네티즌들 사이에서 말도많고 탈도 많은 업체죠. 동영상 검색 포탈에서 자리를 잡아보려고 무던히도 고생하는듯 보입니다만...--;; 덤벼라 구글~!! Vsearch2.0 근데 뭘~ 검색해 준다는건지 알수가 없군요. 박지성을 검색해보니 상단 프리미엄 검색결과에는 엉뚱한 헤드라인 뉴스를 뿌려대고, 박지성과 관련된 동영상은 게시판 포함해서 4개 정도 노출이 되는군요... 정말 막강한 검색결과입니다. 오데~~ 구글 이름 함부로 끼워넣어서 덤벼라고 도발을 하는지...^^;;; 쪽팔립니다. 그건 그렇고 스폰서 플래시 광고는 액티브 안깔아도 동영상 앞단에서 잘~ 재생되고 정작 동영상을 보려면 광고본 후에 액티브 깔고 봐야된다... 이건 또 무슨 X소리...ㅜ.ㅜ 안깔아도 볼 수 있을 동영상을 굳이 액티브..

네이버는 블로그, 다음은 카페 지금까지 대략 이런 공식이 성립되어 왔지만 앞으로 그 판도는 급격하게 바뀔 것입니다. 설치형 블로그 테터툴즈, 가입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의 하이브리드 성격을 띈 티스토리. 다양한 메타블로그들과 개인 메타블로그 생성툴들의 등장... 웹은 너무 빨리 변하고 있고 포탈은 자신들만의 영역이었던 것들을 지키려 안간힘입니다. 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는 인기검색어 우려먹기용으로 점점 전락하고 있습니다. 4월9일 네이버 인기검색어로 '이요원딸'이 올라왔을때 블로그 검색결과입니다. 그중 메인에 노출된 블로그에 들어가 보겠습니다. 특정 블로그 주소는 편집하여 삭제하였습니다. 1. 알수 없는 문자로 조합된 첨부파일 4개. 2. 이요원과 남편, 딸이 보이는 사진 이미지와 스크랩한 뉴스 내용. ..

TV방송과 인터넷의 경계가 허물어져 가고 있음은 포탈 인기검색어와 TV 방송을 보고 있으면 여실히 드러납니다. 금일(2007.4.9.월) 저녁에 방영한 KBS 2TV '인간극장'에 소개된 '틱'장애를 앓고 있는 청년에 관한 이야기를 보다가 네이버 검색을 보니 실시간 인기검색어에 즉시 틱,틱장애,뚜렛증후군,인간극장이 인기검색어 상위에 즉시 랭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건 굉장히 많은 부분을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방송과 인터넷의 경계가 허물어져 가고있는 증거이기도 하구요, 방송을 시청하면서 인터넷을 하고 있는 사람이 그만큼 많다는걸 반증하기도 하네요.^^; 저같은 경우에도 컴퓨터 작업(인터넷)을 하면서 티비를 힐끗힐끗 보는 편인데 방송을 보면서 궁금한게 있으면 바로바로 검색하는 측에 속합니다..

3월18일 야후 동영상 UCC 서비스 '야미'에 음란물(포르노)이 업로드 되었고, 그것이 야후에 약 6시간 가까이 노출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이것이 대형사고로 이어진데는 네이버 인기검색어가 한몫 단단히했다. 네이버에서는 현시각 3.19.오후9시48분 여전히 '야후동영상' 키워드가 인기검색어 1위) 정작 사고주체인 야후에서는 '야후동영상'이 인기검색어 순위에 없다.^^; 아래 첨부 이미지는 네이버 뉴스에 올라온 야후 음란 동영상과 관련된 기사내용. 이번에 발생한 UCC 대형사고는 이미 예견되어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죠. 포탈 입장에서는 큰 흐름(UCC)에 편승하지 않고서는 살아남기 힘들기 때문에 다소 무리수를 두더라도 UCC를 할 수 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수천, 수만개의 동영상이 업로드..

MBC 일밤 '경제야 놀자' 프로에 (가수)이승환의 집이 공개되었죠. 1시간 남짓 지나고 나니까... 거기에 나왔던 것들이 네이버 인기검색어가 되어 올라옵니다. 로봇 강아지 '아이보'가 나왔고, 이승환 게임기 '닌텐도 WII'가 나왔었죠. 6위, 8위, 10위 인기검색어에 올라갔습니다. 이걸 뒤집어 생각해 본다면, 일밤에 어떤 내용이 나올지 대략의 예고를 아는 사람이면 관련 내용을 포스팅하겠죠. 그럼 바로 인기검색어 -> 노출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방송과 포탈의 마케팅 연동... 이제 여러분들도 시작해보세요.^^;

http://bookmark.naver.com/ 3년전에 네이버에 입사원서를 넣은적이 있었죠... 그때 제출했던 아이디어가 북마크 서비스였는데... 지금 오픈한것과 유사하지만 조금 달라요. 제가 제출한 아이디어는 카페,웹페이지 등 검색결과 우측에 북마크 버튼이 노출되고, 클릭하면 자신의 북마크 저장소에 저장이 되는 방식이었죠. 저장을 할때는 간단한 설명도 붙일 수 있고 말이죠.^^; 어찌되었든 북마크 서비스가 오픈되긴 했는데... 왠지 이대로는 마케터들의 장난에 서비스가 흔들릴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각 태그별로 링크된 북마크가 노출되기도 하는데... 이런 부분들은 마음만 먹으면 마케팅 하는 사람들이 프로그램으로 조작도 가능할거 같은 생각이 듭니다. 어딘가 수정이 되긴 해야하는데... 지금은 멍~하니 생..

2007년은 UCC 열풍이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이제 마케팅의 흐름, 큰 물길이 정해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마케터들은 흐름을 항상 쫒지 않으면 금방 뒤쳐지고 맙니다. 항상 웹이 만들어내는 물결에 관심을 가져야합니다. 잔물결이 아닌 큰 물결을 봐야합니다. UCC 중에서도 동영상이 대세로 정해진 상태이고, 어떤 형태로든 동영상 UCC를 활용한 수익쉐어 모델은 계속해서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 마케터인 우리들은 어떻게 UCC를 활용하여 수익을 낼 수 있을까요? 좋은 사례를 한가지 소개합니다. 조금 지난 얘기입니다만, 한때 다이어트코크에 멘토스를 넣어서 분수를 만들어낸 동영상이 굉장한 인기였지요? 그들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입니다. http://www.eepybird.com/ 멘토스와 다이어트 코크만을 ..

네이트가 작년에 선보인 '날으는게시판-판'에 2007년 1월10일부터 판커머셜이라는 수익쉐어 시스템을 내놓았습니다. http://pann.nate.com/b50111 판커머셜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글 올리면 광고가 걸리고, 그게 클릭되면 일정 비율에 따라 수익금을 게시물 작성자에게 준다'는 개념입니다. 글을 올릴때 광고는 어떻게 걸리나? 아래 캡쳐 참고하세요. 게시물 우측 상단에 광고가 노출됩니다. 그런데 전~혀 내용과는 상관없는 광고가 노출이 되지요. 클릭이 많이 일어날까요? 한 유저의 수익 현황을 확인해 봤습니다. 218개의 게시물을 업로드하여 68,750원의 적립금이 쌓였군요. 상당수의 게시물이 자극적인 제목의 낚시성 글들이 대부분인데도 불구하고, 조회수가 2000 hit가 넘어도 수익금은 0원인..
웹2.0... 전문가들이 말하는 웹2.0, 여기에 관해 논하라고 한다면 책이 한권정도 나오지 않을까요? 제가 생각하는 웹2.0은 한마디로 "사용자의 적극 참여로 만들어지는 인터넷" 입니다. 웹2.0이라는 말이 정의되기전에 이미 국내에서는 네이버 지식검색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 참여로 웹서비스가 완성되어지는 형태입니다. 지금 열풍이라고 할만한 UCC에 대해서도 생각해 봅시다. 유저들이 만든 컨텐츠 그것은 소설,만화,그림,글,동영상,사진 수도 없이 많을 것입니다. 다만 그 파급효과가 가장 크며, 역동적인 모습을 연출할 수 있는 동영상이 선두에 선 것이죠. UCC 동영상으로 뚜렷한 수익모델을 제시한 곳이 있나요? 전부 검토중인 사안들 정도에 머물러 있을 겁니다. 유저가 동영상을 업로드 할 때, 그 동영..

http://remember.co.kr 가입하시면 기본적으로 300메가 무료 웹하드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1기가 용량을 15일간 자유롭게 저장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구요.. 업로드한 자료의 외부링크도 제공하는데... 외부링크를 할 경우에는 일일 다운 용량(500메가)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웹하드 1기가당 10,000원의 비용을 지불하면 되는데... 특이한 점은 용량을 증설하는데만 비용이 든다는 점입니다. (업로드한 자료를 다운로드 하는데 비용은 전~혀 들지 않습니다) 다른 웹하드와는 완전히 차별화 되는 부분이죠? 더 좋은 웹하드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글 하나 읽고 싶은 것 뿐인데 회원 가입을 하라구? 블로그에 댓글 하나 쓰는데도 가입, 가입... 사이트마다 다른 ID와 비밀번호로 가입하려니 귀찮네~ 매번 같은 ID와 비밀번호를 쓰려니 또 불안하고 잘 모르는 사이트에 email 주소를 알려주면 스팸메일이 늘지 않을까? 누군가 내 ID 도용해서 몰래 나쁜 짓 하지는 않을까? 사실상 이와 같은 서비스는 진작에 필요했었던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런데, 왜 이런 서비스가 도입되지 못했고 쉽게 정착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서비스 이용자 입장에서 봤을때 얼마나 편리한 서비스입니까? 내 전용 아이디 하나만 있으면 모든 사이트에 별도로 가입할 필요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상만으로도 짜릿한 정말 편리한 서비스임에 틀림없지요.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쉽게 도입되지 못하는..

먼저 아이핀(i-PIN)이 뭔지부터 간단히 알아봅시다. 아이핀 발급 : http://www.siren24.com/siren24/sse/jsp/sse01s_j30.jsp 한국정보보호 진흥원 아이핀 관련주소 : http://www.kisa.or.kr/kisa/ipin/jsp/ipin_2010.jsp 그린버튼,크레딧뱅크등... 들어가봤지만 발급 버튼도 없고, 전산장애만 발생하더군요. 그나마 사이렌에서는 정상적으로 발급처리가 되었습니다. 아이핀 발급을 위해서는 신원확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자신의 피시에 공인인증서가 발급되어 있을 경우 편리하게 아이핀 발급이 가능합니다. 아이핀 발급을 완료하였습니다. 근데... 다 발급 받았는데... 뭐 어쩌라는 것인지...ㅜ.ㅜ 정작 아이핀 발급하는 서신평(사이렌)에 회원가..

제목 자체가 좀 뜬금없긴 합니다만... 좀 읽다보면 제가 하고자 하는 말을 이해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다음 서비스를 이용하다보면 코멘트를 남길때 텍스티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텍스티콘 서비스는 특정 문자를 이미지로 대체해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텍스티콘 링크 : http://pie.daum.net/kin/comment/ShowTexticon.do 각종 게시판, 블로그 등등... 스팸 댓글, 광고 등록으로 골치가 지끈거리시는 분들 얼마나 많습니까? 반면 광고글 등록하는 사람은 그게 또 돈이 되니까 그런거구요...--;; 텍스티콘 서비스와 같은 형태로 다음과 같이 자동 변환해서 코멘트가 달리게 한다면? 점(.)을 이미지로 대체 노출.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더라도 웹사이트 주소가 정상적으로..